Ads Here

2025년 4월 22일 화요일

복근 운동 해야하나? 뱃살 무조건 감량해야 하는 이유근 운동 해야하나? 뱃살 무조건 감량해야 하는 이유

 복근 운동


복근운동


고중량의 스쿼트나 데드리프트를 해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이런 느낌을 받아본 적이 있을 겁니다.“복부에 힘이 엄청나게 들어가네?”그래서 일부 트레이너들은 굳이 복근 운동을 따로 할 필요 없다고 말하곤 합니다.


할리우드 배우 크리스 에반스 역시, “나는 복근 운동을 따로 하지 않았다.”고 언급한 적이 있죠. 하지만 그의 조각 같은 식스팩은 영화 속에서 확실히 눈에 띄었습니다.


식스팩 운동

그렇다면 과연, 복근 운동 없이 데드리프트나 스쿼트만으로 식스팩을 만들 수 있을까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복근’은 하나의 근육이 아닙니다.

  • 복직근: 식스팩을 만드는 메인 근육

  • 복횡근: 깊숙한 내복부 근육, 복압 유지에 중요

  • 내복사근 & 외복사근: 몸통 회전 및 옆구리 부분

  • 코어 근육군: 복근 + 척추기립근 등 중심을 잡아주는 근육들

즉, ‘복근’이라고 하면 단순히 복직근만이 아니라 기능적으로 다양한 근육의 조합이라는 거죠.


스쿼트, 데드리프트

고중량 운동을 할 때 복부에 강한 압력이 걸리는 건 사실입니다. 그 이유는 복부에 공기 압력을 형성해 척추를 안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코어는 단단하게 고정되지만, 실질적으로 복직근(식스팩 부위)에는 직접적인 자극이 크지 않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다양한 운동이 복직근에 주는 자극을 측정한 결과,

  • 데드리프트나 스쿼트보다

  • 짐볼 위에서 푸시업을 하는 동작이 더 높은 복직근 근전도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서도 여러 복근 운동과 스쿼트를 비교했을 때, 스쿼트가 복직근 자극 수치가 가장 낮았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뱃살 감량

그렇다면, 왜 스쿼트를 하면 복부에 강한 힘이 들어가는 걸까요?

이는 복직근이 아닌, 복횡근과 같은 코어 근육들이 척추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즉, 복부에 ‘힘이 들어간다’는 느낌은 코어 근육 작용의 부산물이지, 복직근이 강하게 자극되었다는 의미는 아니라는 거죠.

코어 강화 vs 복근 조각

  • 스쿼트/데드리프트 → 복횡근, 척추기립근, 전체 코어 강화

  • 복근 운동 (크런치, 레그레이즈 등) → 복직근(식스팩) 직접 자극


식스팩 운동
  1. 복직근은 직접적인 자극을 통해 발달합니다.

  2. 스쿼트와 데드리프트는 코어 강화에는 좋지만 복직근 자극은 미미합니다.

  3. 복근을 드러내는 데 가장 중요한 건 체지방 감량입니다.

  4. 칼로리 소모가 큰 운동(예: 스쿼트, 데드리프트)은 체지방 감량에 효과적입니다.



복근은 단순히 복부에 힘을 준다고 생기는 게 아닙니다. 타겟 자극 + 체지방 감량 + 식단 관리가 균형 있게 조화되어야만 선명한 식스팩이 드러납니다.